<p></p><br /><br />시원하게 뚫린 한강변에 늘어선 아파트입니다. <br> <br>실제로 비싸게 팔린 아파트 50건 중 42건은 한강변 아파트였다고 하죠. <br> <br>한 정치인은 이렇게 말했습니다. <br> <br>천.박.한. 도시 <br> <br>한강변 아파트가 욕망의 공간이 돼 버린 걸 생각하면 이렇게 말한 이유 짐작가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. <br> <br>그런데요. <br> <br>한강을 욕망의 공간이 되도록 내버려 둔 건 누구일까요. <br> <br>적어도 국무총리를 지내고 서울이 지역구이기도 했던 정치인이 책임에서 자유롭다 할 수는 없을 겁니다. <br><br>한 건축가는 어떤 도시가 좋은 도시인가라는 질문에 “매우 큰 10개 공원과 도서관이 아니라 가까이에 있는 50개의 작은 도서관과 공원이 필요하다."라고 했는데요. <br> <br>다시 말해 소통하는 공간이 필요하다는 거죠. <br> <br>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정치는 그동안 누구와 어떻게 소통했는지 어떤 고민을 했는지 묻게 됩니다. <br> <br>이제와 천박하다고 해버리면 어쩌라는 건지 답답해집니다. <br> <br>오늘 클로징 제목은 “정치는 좋은 도시를 만들었는가”로 하겠습니다. <br><br>뉴스A 마칩니다. 주말은 조수빈입니다.